티스토리 뷰
2025년 노인 기초연금 금액
기초연금액은 신청자의 국민연금 수령 여부, 소득 수준, 부부 수급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본적으로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은 기준연금액으로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 기준연금액: 월 최대 342,510원
기초연금 수급자격 모의진단하기 →
기준연금액이 적용되는 대상자
-국민연금을 받지 않는 분 (즉, 국민연금 가입 이력이 없는 무연금자)
-국민연금 월 급여액이 513,760원 이하인 분(단, 국민연금법 제52조에 따라 지급되는 부양가족연금액은 제외됨)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 장애연금을 받고 계신 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장애인연금 수급자 등 특정 대상자
위에 해당하는 분들은 최대 342,510원의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으나,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또는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위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의 기초연금 산정 방식
위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다음 산식 중 하나를 적용하여 기초연금액을 산정합니다.
① 소득재분배급여(A급여)에 따른 산식 적용
소득재분배급여(A급여)란 국민연금 급여액 중 기초연금적 성격을 가진 부분을 의미하며, 개인별 기초연금액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가입기간이 길거나, 조기에 가입한 경우 A급여액이 증가하며, 동일한 가입기간이라도 가입 시점 및 이력에 따라 A급여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산식: 기초연금액 = (기준연금액 - (2/3 × A급여)) + 부가연금액
계산 결과가 음(-)의 값이면 ‘0’으로 처리됨
② 국민연금 급여액을 고려한 산식 적용
국민연금 급여액이 기준연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기초연금액을 산정합니다.
산식:기초연금액 = (기준연금액의 250%) - 국민연금 급여액
단, 국민연금법 제52조에 따른 부양가족연금액은 제외
2025년 기초노령연금 금액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적용되는 기초연금 기준연금액을 기준으로 한 연금액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연금액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은 월 34,250원으로, 이는 최저연금액으로 설정됩니다.
-기준연금액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은 월 171,250원이며, 이는 부가연금액으로 지급됩니다.
-기준연금액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은 월 342,510원으로, 기초연금의 기준연금액으로 적용됩니다.
-기준연금액의 150%는 월 513,760원입니다.
-기준연금액의 200%는 월 685,020원입니다.
-기준연금액의 250%는 월 856,270원입니다.
기초연금은 개인의 소득 및 국민연금 수급 여부 등에 따라 지급액이 조정될 수 있으며, 최고 지급액은 기준연금액(342,510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위 산식을 적용한 결과, 기초연금액이 기준연금액(월 342,510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지급되는 최고액은 기준연금액을 넘지 않습니다.
직역연금 특례자에 대한 기초연금액 산정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등을 받고 계신 분 중에서, 기존에 기초노령연금을 받던 분들은 기초연금액이 기준연금액의 50%(171,250원)인 부가연금액으로 산정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소득역전방지 감액이 적용되거나,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을 경우 감액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액 산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국민연금공단 또는 관련 기관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개별적인 소득 및 연금 수급 상황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청 전에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상속세 기초공제액
- 상속세 일괄공제란
- 배우자 상속세 면제 한도액
- 타인간 증여세 한도액
- 상속세 신고세액공제
- 증여세 신고기한
- 타인 증여세 면제 한도액
- 증여세 연부연납 이자율
- 자녀 생활비 증여세
- 부모 자식간 금전거래
- 사전 증여재산 상속재산 합산
- 부담부증여 양도세 계산
- 부담부증여 양도소득세 계산
- 부모 자식간 부동산 거래
- 부모님생활비 증여세 내나요
- 배우자 동거주택 상속공제
- 금융재산 상속공제 금액
- 부모 자식간 현금증여
- 증여세 연부연납 기간
- 증여세 납부기한
- 장례비용 상속세
- 혼인 출산 증여재산공제
- 상속공제 적용 한도액
- 부모 자식간 계좌이체
- 증여세 연부연납 신청
- 부모 자식간 부동산 증여
- 부모 자식간 부동산 매매
- 배우자 사망시 상속 순위
- 타인에게 증여시 세금
- 배우자 상속공제 한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