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이번 시간에는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 재산세 환급금 조회하기 →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제도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제도는 주택 보유자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제도로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1가구 1주택 소유자는 재산세가 감면되거나 경감받을 수 있습니다.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대상
- 1가구 1주택 소유자 : 세법상 동일한 가구가 한 채의 주택만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주택을 여러 채 보유한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공시가격 9억원 이하의 주택 : 공시가격이 9억원 이하인 주택이 감면 대상입니다. 공시가격이 이 금액을 넘을 경우 감면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제한적인 감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혜택
공시가가격이 6억원 이하인 주택은 최대 30%까지 재산세가 감면될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 1억원 이하의 소형 주택, 저가 주택의 경우 재산세 부담이 더욱 완화됩니다. 이 경우 최대 50%까지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혜택 (2)
과세표준 | 특례 세율 | 재산세 인하 효과(인하율) |
0.6억 이하(공시 1억) | 0.05% | ~3만원(50%) |
0.6~1.5억 이하(공시 1~2.5억) | 3만원+0.6억 초과분의 0.1% | 3~7.5만원(38.5~50%) |
1.5~3억 이하(공시 2.5~5억) | 12만원+1.5억 초과분의 0.2% | 7.5~15만원(26.3~38.5%) |
3~5.4억 이하(공시 5~9억) | 42만원+3.0억 초과분의 0.35% | 15~27만원(17.6~26.3%) |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적용 방식
감면은 자동 적용되므로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자체에서 매년 공시지가를 바탕으로 감면율을 적용하여 고지서에 반영합니다.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에 대한 글을 마치며
이렇게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더불어 재산세 카드납부 혜택을 공유 드리니 참고 바랍니다.
재산세 카드납부 혜택 확인하기 →
'냄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억 20억 30억 아파트 재산세 계산 (0) | 2024.10.04 |
---|---|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 (0) | 2024.09.28 |
토지 재산세 분리과세 (0) | 2024.09.27 |
토지 재산세율 (0) | 2024.09.27 |
토지 재산세 토지세 계산법 계산기 조회 (0) | 2024.09.26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부모 자식간 부동산 증여
- 부담부증여 양도소득세 계산
- 타인간 증여세 한도액
- 상속세 신고세액공제
- 금융재산 상속공제 금액
- 상속세 연부연납 신청절차
- 배우자 사망시 상속 순위
- 부모 자식간 계좌이체
- 상속세 연부연납 이자율
- 상속세 기초공제액
- 배우자 동거주택 상속공제
- 부모 자식간 부동산 거래
- 증여세 연부연납 이자율
- 증여세 신고기한
- 부모 자식간 현금증여
- 상속세 분납 기간
- 사전 증여재산 상속재산 합산
- 부담부증여 양도세 계산
- 상속세 일괄공제란
- 증여세 납부기한
- 배우자 상속공제 한도
- 배우자 상속세 면제 한도액
- 부모 자식간 금전거래
- 상속공제 적용 한도액
- 증여세 연부연납 기간
- 장례비용 상속세
- 상속세 연부연납 기간
- 부모 자식간 부동산 매매
- 혼인 출산 증여재산공제
- 증여세 연부연납 신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