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
이번 시간에는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
1가구 2주택의 경우 재산세는 1주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세금이 부과됩니다. 1가구 2주택자는 주택 수에 따라 일반과세와 중과세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재산세 1가구 2주택 부과기준
재산세는 주택의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부과되며 주택의 공시가격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1가구 2주택의 경우 기본적으로 1주택자와 동일하게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 재산세 기본세율
- 공시가격 6억원 이하 : 0.1%~0.4%
- 공시가격 6억원 초과 ~ 9억원 이하 : 0.4%
- 공시가격 9억원 초과 : 0.5%~0.7%
1가구 2주택 재산세 상한선
세부담 상한은 전년도에 납부한 재산세에 비해 일정 비율 이상으로 재산세가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설정된 상한제입니다. 1가구 2주택자는 세부담 상한이 13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년도에 납부한 재산세가 100만원이었다면 올해는 최대 130만원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혜택 확인하기 →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 방식은 각 주택의 공시가격에 따른 누진세율을 적용한 후 주택 합산금액에 대한 종합부동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가구 2주택자가 공시가격 5억원과 8억원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1. 5억원 주택의 재산세 계산
- 공시가격 5억원은 6억원 이하이므로 0.1% 세율이 적용됩니다.
- 5억원 x 0.1% = 50만원
2. 8억원 주택의 재산세 계산
- 6억원까지는 0.1% 세율이 적용되고 6억원 초과분에 대해 0.25%가 적용됩니다.
- 6억원 x 0.1% = 60만원
- 2억원 x 0.25% = 50만원
- 총 재산세 = 60만원 + 50만원 = 110만원
3. 총 재산세 합산
- 첫 번째 주택 재산세 = 50만원
- 두 번째 주택 재산세 = 110만원
- 총 재산세 = 160만원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에 대한 글을 마치며
이렇게 1가구 2주택 재산세 계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재산세 자동계산하기 →
'냄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토지 재산세 부과기준일 과세기준일 (0) | 2024.10.05 |
---|---|
10억 20억 30억 아파트 재산세 계산 (0) | 2024.10.04 |
1가구 1주택 재산세 감면 (0) | 2024.09.28 |
토지 재산세 분리과세 (0) | 2024.09.27 |
토지 재산세율 (0) | 2024.09.27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사전 증여재산 상속재산 합산
- 증여세 신고기한
- 배우자 사망시 상속 순위
- 부담부증여 양도세 계산
- 상속세 연부연납 기간
- 상속세 신고세액공제
- 부모 자식간 현금증여
- 금융재산 상속공제 금액
- 상속세 기초공제액
- 부모 자식간 부동산 거래
- 부모 자식간 계좌이체
- 부담부증여 양도소득세 계산
- 상속공제 적용 한도액
- 타인간 증여세 한도액
- 증여세 납부기한
- 배우자 동거주택 상속공제
- 증여세 연부연납 이자율
- 상속세 분납 기간
- 부모 자식간 금전거래
- 상속세 연부연납 이자율
- 증여세 연부연납 신청
- 장례비용 상속세
- 상속세 연부연납 신청절차
- 혼인 출산 증여재산공제
- 배우자 상속세 면제 한도액
- 증여세 연부연납 기간
- 부모 자식간 부동산 증여
- 부모 자식간 부동산 매매
- 상속세 일괄공제란
- 배우자 상속공제 한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